「한국교육논총」 편집규정
세부적인 원고 작성 양식은 각 전공 영역에 따르겠지만, 전반적인 논문의 형식은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게재응모 원고는 워드프로세서(아래한글 2002 버전 이상)로 작성하여야 하며, 원고는 내용면에서 완전한 상태로 제출되어야 한다. 이를 그대로 출판했을 때 발견되는 철자, 띄어쓰기, 구두점 등 맞춤법 상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저자에게 있다.
- 원고의 분량은 A4용지(글자 크기 10) 약 25페이지를 제출하여야 한다. 별쇄본은 4부가 제공되며, 규정된 부수 및 형식 이외의 별쇄에 대해서는 따로 신청을 해야 하며 이에 대한 실비는 저자가 부담한다.
- 편집용지는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제출한다.
용지종류 용지방향 줄간격 여백(mm)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머리말 꼬리말 제본 A4 좁게(세로) 200% 20 40 36 36 13 27 0 -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漢字로 표기하거나 ( )속에 원어를 표기하며,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표기한다.
- 논문 제목, 저자명, 소속기관명은 한글과 영문을 병기한다.
- 투고 논문은 논문제목, 성명(소속기관, 직위), 국문요약(주제어 포함), 본문 내용, 참고문헌, 영문초록(abstract), 주제어(key words)의 배열 순서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단, 국문 요약 및 영문 초록은 300단어 이내로 한다.
- 2인 이상의 공동 연구논문의 경우, 제1저자와 공동 저자를 구분하여 명시한다.
- 장절 제목의 번호부여 체계는 다음과 같다.
속성 글자 크기 글자 모양 줄간격 들여 쓰기 정렬방식 제목 논문 제목 16 휴면명조 진하게 200 하지 않음 가운데 장 제목 : Ⅰ. 13 신명조 진하게 180 하지 않음 왼쪽 정렬 절 제목 : 1. 11 신명조 진하게 180 하지 않음 왼쪽 정렬 소 제목 : 1) 11 신명조 진하게 180 하지 않음 왼쪽 정렬 세부 제목 : (1) 10 신명조 보통 140 하지 않음 왼쪽 정렬 미세 제목 : ① 10 신명조 보통 110 하지 않음 왼쪽 정렬 본문 11 신명조 보통 200 10 양쪽 정렬 인용문 10 신명조 보통 230 10 양쪽 정렬 참고문헌 제목 12 중고딕 진하게 170 하지 않음 가운데 내용 10 신명조 보통 170 하지 않음 양쪽 정렬 표/그림 제목 10 신명조 보통 160 하지 않음 가운데 내용 9 신명조 보통 160 하지 않음 가운데 주석 : 각주 9 신명조 보통 150 하지 않음 양쪽 정렬 초록 제목 13 신명조 진하게 200 하지 않음 가운데 내용 10 신명조 보통 180 하지 않음 양쪽 정렬 공통 자간 : 한글 0% / 영문 0% - 표와 그림
- ①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는 < >와 같은 괄호를, 그림은 [ ]와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예) <표 1>, [그림1]
- ② 표의 제목은 상단에, 그림은 하단에 표시한다.
- ③ 표와 그림 파일은 논문 파일 내에 붙여야 하며, 다른 파일로의 경로를 지정하는 형식으로 하지 않도록 한다.
- ①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는 < >와 같은 괄호를, 그림은 [ ]와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 인용과 참고문헌은 다음의 보기대로 한다.
- 본문 내에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나타나는 경우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와 해당 페이지를 표시한다.
보기: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2000: 20)은...
- 인용되는 저서나 저자명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고 그 속에 발행연도와 해당페이지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을 쌍반점(;)으로 나눈다.
보기: 한 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홍길동, 2000: 20; Ausubel, 1985).
저자가 2인 이하의 경우 모두 표시 한다.
보기: 홍길동(2000), (홍길동, 2000), Novak과 Wandersee(1988), (Novak & Wandersee, 1988)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보기와 같이 표시한다.
보기: 홍길동 등(2000), 오슈벨 등(1985), Hong et al.(2000)
- 참고문헌 작성
- 가. 단행본의 경우
보기: 홍길동(2000), 홍길동전 연구, 청주: 충북대학교 출판부.
- 나. 정기간행물의 경우(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보기: 홍길동(2000), 홍길동전 연구, 교육학연구, 30(1), 11-25.
- 다. 학위논문의 경우
보기: 홍길동(2000), 홍길동전에 나타난 인간관. 충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라. 외국 논문과 번역한 책의 경우
보기: Lamprecht, S.P.(1955), Our Philosophical Tradition, 김태길 등 옮김, 서양철학사, 서울: 을유문화사.
Esland, G.M.(1971),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M.F.D. Young(ed.), Knowledge and Control(pp. 33-51),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가. 단행본의 경우
- 본문 내에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나타나는 경우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와 해당 페이지를 표시한다.
- 표
- 표 작성시 가로선만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본문 내용에 표가 들어갈 자리 표시를 하고 표는 별지에 따로 작성한다.
(예: 표 1, 붙임 2)
- 제목과 필요한 서술은 표 위에 위치한다.
- 제목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한다.
(예: 표 2)
- 그림
- 그래프, 그림, 사진은 모두 그림으로 명명한다.
- 본문 내용에 그림이 들어갈 자리를 표시하고 그림은 별지에 따로 작성한다.
(예: 그림 1, 붙임 2).
- 제목과 필요한 서술은 그림 하단에 위치한다.
- 그림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로 한다(예: 그림 2).
- 간행물(인터넷 간행물 포함)에 발표되지 않은 학위논문의 경우 투고 논문 주석에 명시하도록 한다.
- 본 투고 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의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에 준한다.
